시각장애인이 처음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까지 by 백남중

   올해는 한국에서 인터넷이 상용화된지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여러가지 기념 행사를 하고 있지만 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인터넷에서 장애인의 접근에 관한 내용이 보이지 않는 것 같다.
   이에 인터넷에서 여러가지 문제 때문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시각장애인의 인터넷 처음 접근에 관한 내용을 글로 남겨 본다.

1994년 초여름, 퇴근 시간이 조금 지나서 어떤 분이 점자에 관한 것을 알고 싶다며 복지관을 찾아 왔다.

본인은 삼성전자 소속으로서 인공 로봇 개발과 관련하여 KAIST에 파견 근무 중이라 하였다. 자신이 맡은 업무는 인공 로봇의 손가락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점이 어느 정도 가까우면 하나의 점으로 인식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사람의 손가락이 점을 인식하는 것에 관하여 여러 의견을 들었지만 시각장애인의 점자에 관한 것을 파악하면 쉽게 알 수 있다고 하여 복지관을 찾아 왔다고 하였다.

당시 복지관에서 컴퓨터 점역과 자료실 업무를 관계하고 있던 나는 점자에 관한 규격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알려 주었다.

그런데 묻는 것 중의 하나가 점자프린터를 생산하는 미국 회사의 URL을 알려 달라는 것이었다.

인터넷에 대하여 문외한이었던 나는 점자프린터 제조회사의 인터넷 정보에 대하여 주소 외에는 제공할 정보가 없었다.

그 분은 인터넷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고, 인터넷 계정이 없이도 무료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었다.

당시 KAIST에서는 일반인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화선 1개를 공개하였는데 그 번호를 알려 주었다.

평소 자료에 관심이 있었던 나는 집에 와서 연결을 해보았지만 연결이 안되었다.

연결이 안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이 대학, 연구소 등 아주 극소수였고 일반응은 엄두도 못내던 시절이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KAIST에서 일반인을 위해 공개한 전화번호는 웬만해서는 접속이 불가능하였다. 접속한다고 해도 1회에 30분간만 가능하다고 하였다.

이에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을 시간인 밤 12시 넘어서 접속을 해 보았다.

접속이 되었다.

짧은 영어 실력이었지만 천신만고 끝에 미국 국회도서관 BPH 사이트 접속에 성공하였다.

맹인 및 지체장애인을 위한 부서인 BPH(Blind and Physically Handicapped)에는 시각장애 뿐만 아니라 장애 관련 각종 자료가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

검색어를 점자 Braille이라고 입력하니 생각지도 못했던 엄청난 자료가 화면에 나타났다.

엄청난 충격이었다.

당시에는 복지관에서 외국 자료를 접할 수 있는 직원 자체가 극소수에 불과했고, 외국 자료를 돈을 지불하는 복지관도 손으로 꼽을 수 있을 정도였다.

이후 시간이 있을 때마다 주로 심야 시간에 KAIST를 통하여 인터넷 항해의 즐거움을 누렸다.

1994년 가을 우연히 시각장애인의 집을 방문하였다.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누던 중 우연히 인터넷에 관한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당시 사회적으로 인터넷에 관한 열기가 커서 시각장애인도 인터넷을 하는 방법이 없을까 하는 것이 화제의 초점이었다.

일반인처럼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계정이 있더라도 스크린 리더가 인터넷을 지원하지 않으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KAIST에서 외부에 공개한 전화를 활용하여 미국 국회도서관에 접속하였다. 토요일 오후였는데 기적적으로 접속이 되었다.

복지관에 종사하면서 시각장애인이 음성합성장치와 스크린 리더를 활용하여 컴퓨터를 하는 모습을 처음 본 순간이었다.

내가 생각했던 시간보다 화면의 내용을 읽어 내는 시간은 엄청 오래 걸렸다.

이에 정보 장애가 있는 시각장애인에게 인터넷에서 많은 정보를 찾아 제공하는 것도 좋은 서비스라고 생각했다.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각종 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계정이 필요했다.

당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계정은 별도로 신청을 하여야 했는데 요금이 비싸서 개인이 신청하기에는 무리였다.

우여곡절 끝에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계정을 복지관 명의로 신청하여 시각장애 관련 정보를 구하기 시작하였다.

당시는 인터넷이 종전의 Gopher에서 급격히 www로 이동하던 시기라서 자료를 찾은지 일주일도 안되어 www 사이트가 열렸다.

자료를 찾는 대상도 처음에는 시각장애인 관련 점자 및 점역 프로그램, 보조공학기기, 재활훈련 등에 관한 것만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복지도 장애인 복지의 한 분야라서 찾는 자료가 점점 범위를 넓혀 나가게 되었다. 시각장애 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청각장애, 지체장애, 발달장애, 자폐증, 난독증, 주의력 결핍장애 등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자료의 주제도 한 가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장애인의 생활 전반에 관한 것을 찾게 되었다.

시각장애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199577일 재활공학 발표회를 하였다.

당시 국내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점역 프로그램의 개발이 붐을 이루고 있었다.

1989년 가톨릭맹인선교회의 MBT(Multi Braille Translator)를 시작으로 1990년 점자 Coder(밀알), 1991BRAVO(BRaille And Voice Output, KAIST 시스템공학연구소), 1992년 새글(청주맹학교), 1993BrailleBest(서울시각장애자재활원)가 발표되고 버전 업되는 상황이었고, 외국의 점역 프로그램에 대한 기능에 대해서 관심을 많이 갖고 있던 때였다.

이에 4종의 외국 점역 프로그램(NFBTRANS, Turbo Braille, Hot Dots, MegaDots)의 명령어 및 사용법 소개와 Windows를 이용한 촉각 교재 제작 시연을 보였다.

특히 4종의 외국 점역 프로그램은 인터넷이 아니면 국내에서는 자료를 구할 방법이 없었으며, 단순 점역을 벗어나 워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외국 점역 프로그램의 소개는 점역 담당자에게 귀한 자료가 되었다.

본격적으로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게 되어 퇴근 후에는 다음 날 새벽 5시까지 인터넷에서 자료를 서핑한 다음 2시간 자고 출근을 하였다. 새벽 5시까지 인터넷을 한 이유는 당시는 오전 5시부터 일일점검을 하여 통신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인터넷을 접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지 않고 오직 전화로만 가능했던 시절이기 때문에 집 전화를 인터넷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가족 간에 연락이 안되었다. 이에 집 전화를 한 대 더 설치했다.

장애 관련 사이트를 어느 정도 수집하게 되어 전국 장애 관련 기관의 자료 담당자에게 인터넷에 있는 자료를 찾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자는 안을 올렸다.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자료 담당자에 대한 교육은 불가능하였다.

매우 실망이었다.

이에 시각장애인의 인터넷에 활용에 관하여 평소 의견을 나누던 청주맹학교 길태영 선생에게 하소연을 하였다.

길 선생은 뜻밖에 출판사를 찾아가 책으로 출판하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처음 이야기를 들은 순간 나는 막 화를 내었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책 출간이라는 것은 특별한 사람이 하는 것이었지 일반인은 감히 꿈꿀 수 있는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지관 내에서의 자료 담당자에 대한 교육이 불가능하고, 모은 자료를 사장시키지 않는 방법은 출판이었다.

막상 출판하려고 했으나 어떻게 해야 할 지를 몰랐다.

그래서 그동안 구입한 컴퓨터 도서의 출판사 목록을 정리하고, 위치를 확인하였다.

지금 같으면 저술기획서를 작성하여 송부한 후 다음 절차를 진행하지만 그때는 컴퓨터를 활용한 출판이 일반화되기 전이라 출판 자체가 힘든 시절이었다.

19964월 중순 복지관에 출근한 후 무조건 당일 휴가를 청원하고 출판사를 찾아 갔다. 강남, 마포, 성북에 있는 출판사를 찾아 갔다.

잉크 프린터로 인쇄한 책자를 보여 주면서 내용을 설명하였다.

내용을 보신 출판사 담당자들은 한결같이 완곡하게 거절하였다.

내용은 좋은데... 하며 말 끝을 흐렸다. 판매가 될 것 같지 않는다는 것이다.

좌절이었다.

2호선을 타고 귀가하다가 마지막으로 구의역에 있는 도서출판 삼각형을 찾아갔다. 내용을 설명했더니 강민구 사장이 출간하자고 하였다. 담당 직원에게 계약서를 가지고 오라고 하여 계약을 하였다.

너무 의아하였다. 왜 출간하느냐고 물었더니 삼각형에서는 인터넷에 관한 책을 이미 몇 권 출간하였고, 그 중에 장애인에 관한 것을 한 권 출간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고 하였다.

인세는 정가의 10%(50만원. 나중에 정가가 올라서 60만원 받음)를 준다고 하였다.

내용을 검토하시더니 인터넷 접속방법(하이텔, 천리안)과 시각장애인이 인터넷 접속시 사용하는 텍스트 브라우저 Lynx에 대한 것을 추가 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책명은 원래 장애와 인터넷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장애라는 개념은 하드웨어적이나 소프트웨어적으로도 문제가 있을 때 사용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인터넷'이라고 하기로 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인터넷을 출판하기로 하고 원고를 수정하는 단계에서 대구대 점자도서관에 근무하는 이경재씨를 만났다.

당시 우리 둘은 한국점자도서관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었는데, 임원회의 후 이경재씨가 걱정을 이야기 하였다. 자신이 금년(1996) 초 한국시각장애인아카데미 대구경북지회장을 맡았는데 회장 공약으로 회원에게 인터넷 교육을 공약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인도 인터넷을 잘 모르는데 시각장애인에게 가르칠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내가 인터넷에 관한 책을 집필하여 곧 출간할 단계라고 하니까 그 내용을 중심으로 대구에 와서 강의를 해달라고 하였다.

인터넷에서 자료 찾아 정리하는 것과 시각장애인에게 컴퓨터를 가르치는 것은 별도의 문제였다.

1992년 무제한 음성합성장치 가라사대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말하는 기구로 활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소리나는 한글을 활용한 컴퓨터 활용이 붐을 이루기 시작하였다.

시각장애인에게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는 곳은 5군데(하상재활공학센터, 부산맹인복지관, 서울시각장애인복지관, 시각장애인미래개발원, 하상재활공학센터, 한국맹인복지연합회)였고 한국장애인재활공학센터에서는 시각장애인용 BBS인 넓은마을을 운영하고 있었다.

음성합성장치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이 컴퓨터를 하는 경우 많은 기능이 포함된 스크린 리더를 활용해야 하지만 당시 국산 스크린 리더 소리눈은 인터넷 상의 링크를 제대로 추적할 수 없었다.

따라서 국내 제품을 활용하지 못하고 외제 음성합성장치(DecTalk, Sounding Board, SynPhonix)를 설치하고 외국 스크린 리더 VocalEyes를 활용하여야 했다.

모든 것이 문제였다.

먼저 음성합성장치가 없었다. 한국장애인재활공학센터의 서인환 소장에게 부탁하여 SynPhonix와 스크린 리더 VocalEyes를 구하였다.

강의를 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강의 내용을 점자화하여 참여자 수만큼 제작하였다.

1996510, 1112일로 대구 대명동에 있는 대구시각장애인아카데미 사무실에서 국내 최초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교육을 실시하였다.

준비해간 SynPhonix를 컴퓨터에 장착하고 Vocal Eyes를 활용하여 소리로 인터넷을 구동하였다.

아카데미 회원 9명을 대상으로 한 강좌는 Dos에서 구동되는 텍스트 웹 브라우저 Lynx의 사용법(Numeric Keypad를 활용한 커서 이동, URL 이동, 이동 정지, 출력, 저장, 파일 정보 얻기, Bookmark, 옵션 메뉴 활용, 끝내기, 찾기, 계속 찾기, Reload, Refresh, 편지 보내기,도움말 활용)YahooAlta Vista를 활용한 검색의 실제, Vocal Eyes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Lynx는 미국 Kansas 대학에서 교내 정보 시스템을 만들면서 발전한 것으로, Gopher를 모델로 하여, 보다 나은 미디어 환경의 브라우저로 나아가는 중간 단계의 브라우저로서 좋은 인터넷 환경이 실현되지 못한 사용자들이 사용하도록 배포되었다.

웹의 묘미는 GUI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텍스트와 함께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기는 것에 있다. 그러나 GUI를 활용하기 어려운 시각장애인이거나, 컴퓨터의 성능이 떨어져 그래픽을 비롯한 멀티미디어를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해서 정보 창고인 웹을 포기할 수는 없다. 이때 선택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가 Lynx이다.

Lynx는 텍스트 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빠르며 인터넷의 자원을 전부 접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래픽을 처리하지 못하고, 폰트 크기, 라인, 특별한 문자 등을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Lynx에서는 링크에 자동적으로 번호가 나타나 해당 번호만 입력하면 연결된 사이트로 이동하여 웹을 활용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 인터넷 교육 관련 기사가 중앙일보(1996516일자 소리로 찾아가는 정보의 보고)를 통해 알려짐으로서 참가자들은 한동안 지역 언론의 엄청난 조명을 받았다.

책 출간 즈음에 복지관 및 장애 관련 자료를 포함한 복지관 홈페이지를 오픈하였다(http://interpia.net/kswvh)

19966월 중순 장애인을 위한 인터넷이 출판되었다.

당시에는 인터넷이 도입된 지가 얼마 안 되어 인터넷 상에 있는 각종 사이트 정보를 아는 것이 우선이었다. 따라서 전세계 장애 관련 265개 사이트 명칭, URL, Email 외에 동 사이트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제조회사의 경우에는 주소, 전화번호, Fax 번호까지 포함하였다.



1장에서는 인터넷 접속 방법과 검색엔진, 시각장애인이 활용하는 텍스트 웹 브라우저 링스의 사용법을 담았다. 2장에서는 장애 영역별 인터넷 사이트(장애 일반, 시각장애, 청각장애, 발달장애, 정신지체, 다운증후군, 자폐증, 정서장애, 난독증, 주의력 결핍장애를 3장에서는 장애 주제별 사이트(법률 관련, 보조공학, 제조회사, 맹도견, 수화), 4장에서는 ListserveUsenet을 실었다.

출간을 기념하여 동 책자를 점자책으로 제작하여 시각장애인에게 30부를 무료로 제공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인터넷은 아직까지도 장애 관련된 유일한 컴퓨터 도서이다.

대구에서 시각장애인에게 인터넷 강좌를 하고 나니 복지관 주최로 같은 내용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터넷' 강좌를 실시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계획에 없는 강좌를 실시한다는 문제와 인터넷은 국제 전화 요금을 물어야 한다는 등 각종 오해 때문와 때문에 이를 실천에 옮기기가 어려웠다.

여러 곳에 후원 요청을 했지만 답은 한결같았다.

그러던 중 복지관에서 재활훈련을 수료한 이율희씨에게 이 같은 이야기를 했더니 자신의 친구를 연결시켜 주었다. 행사를 진행할 후원금이 생긴 후 본격적인 행사 준비를 하였다.

날짜는 716일 오후 130분부터 717일 오후 3시까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처음에는 시각장애인 20명 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맹학교 및 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일반 직원들도 참가를 원하였다. 37명이 참석했으며 시각장애인은 24명이었다.

SynPhonix와 모뎀이 장착된 컴퓨터 10대와 약시자용 컴퓨터 1대 그리고 액정 패널을 준비하였다.

다량의 SynPhonix가 없어서 한국장애인재활공학센터에서 빌렸다. 강의용으로는 SynPhonix보다 성능이 좋은 외장형 음성합성장치 Double Talk1대 구입하였다.

컴퓨터 11대를 설치했지만 개개인에게 실습용 컴퓨터를 제공하지 못하는 관게로 컴퓨터 1대당 시각장애인 2, 정안인 2명을 짝을 지워서 강좌에 임하도록 하였다.

참가 시각장애인에게는 점자책 3(장애인을 위한 인터넷, 인터넷 용어집, 강좌 교재), 정안인에게는 장애인을 위한 인터넷 책자를 제공하였다.

강의는 인터넷, HTML, Unix에 대한 이해를 한양여전 전자계산기학과 심해웅 교수가, Lynx 사용법, 검색엔진 Yahoo, Alta Vista, 장애 관련 웹 사이트 소개, 실습은 내가 담당하였다.

12일간 진행된 강좌였지만 음성합성장치를 활용하여 화면의 내용이 음성 출력되는 과정을 전부 들려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지만 강의량은 얼마 되지 않았다. UNIX 사용법과 HTML 문서 이해가 짧았으며 FTP, Telnet, Gopher, Email, Usenet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이다.

인터넷 교육에 참가한 대전맹학교 문성준 선생은 인터넷 초보 시절 경험담과 나만의 이색 사이트 그리고 인터넷 관련 자료를 케인즈 동호회(당신 천리안 시각장애인 동호회)에 올리자고 하였다.

또한 한국시각자애인복지회에 대해서는 시각장애인 인터넷 교육의 정례화, 인터넷 교육을 위한 기초 교육 강화, FTP 자료실과 UNIX 등에 대한 사용법 강의 강화, 인터넷 관련 점자도서 제작 활성화, 전국적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정보의 지속적 게재를 건의하였다.


   이 글을 빌어서 이 모든 과정을 헤치고 나갈 수 있도록 옆에서 응원해준 청주맹학교 길태영 선생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덧글

  • 희망의빛™ 2014/10/02 19:08 #

    ㅡ_ㅡ;
  • 희망의빛™ 2014/10/02 19:18 #

    한가지 궁금증이 생기는데요. 그럼 인터넷으로의 입력은 시각장애인들 같은 경우는 어떻게 입력받나요? 키를 하나씩 누를 때 소리로 말해주는 방식이 아닐까 사료됩니다만...
  • RomanticPanic 2014/10/03 22:48 #

    대단한 발걸음에 조용히 박수 보냅니다....
  • 백남중 2014/10/04 02:54 #

    감사합니다.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me2day